여불위의 육험론 (六驗論)으로 인재 선정.
진나라의 재상이요 진시황제의 아버지(仲父) 여불위는 사람을 뽑을 때에 외모나 재능 보다는 육험론으로 인재를 선정 하였습니다.
1. 낙(樂) :
그 사람을 즐겁게 해주고서 그가 즐거움에
얼마나 빠져드는가를 살펴봅니다.
2. 희(喜) :
그 사람을 기쁘게 해주고서 그가 기쁨을 얼마나
자제하는가를 살펴봅니다.
3. 고(苦) :
그 사람을 괴롭게 하고서 그가 괴로움을
얼마나 참아 내는가를 살펴봅니다.
4. 공(恐) :
그 사람을 두렵게 해놓고서 얼마나 두려움을
나타내지 않는가를 살펴봅니다.
5. 비(悲) :
그 사람을 슬프게 해놓고서 얼마나 슬픔을
삭히는가를 살펴봅니다.
6. 노(怒) :
그 사람을 성나게 해놓고서 얼마나 감정을
다스리는 가를 살펴봅니다.
즉 자극에 쉽게 동요하는 사람은 점잔하지 못하고
경망스러운 사람이어서 쓸모없는 사람이요,
자극에도 쉽게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인내하며
자제하는 사람일수록 무슨 일이든 책임을
완수하는 쓸모 있는 사람이란 뜻입니다.
사람이란 양은 냄비 물 끓듯 하지 않으며,
돌 냄비 물 끓듯 묵중해야 한다는 것은 古今의 眞理입니다.
넷향기 이사장 : 최종찬 장로 올림 |
'문학,좋은글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사임당(申師任堂 (0) | 2018.05.23 |
---|---|
좋은 명언 모음 (0) | 2018.04.21 |
시대착오의 애민(愛民) (0) | 2018.04.04 |
내가 누군 줄 알고 (0) | 2018.04.04 |
유용한 한자상식 (0) | 2018.03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