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5가지 食習慣
콩을 많이 먹고 음식을 꼭꼭 씹는 식습관이 수명을 늘린다
건강수명을
늘리려면 평소 식습관을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. 건강에
해로운 음식을 피하는 것 외에 도움
되는 식습관을 알아두고 지켜야 한다.
건강
수명을 늘리는 식습관에는 어떤 게 있을까?
▷ 젓가락으로만
식사하기=
숟가락을 자주 쓰면 과식이나 폭식을 하기 쉽다. 염분·지방이
많은 국물을 많이 먹게 되기도 한다. 하지만
젓가락으로 식사하면 국물 대신 건더기를 먹게 되면서 염분과
지방 섭취를 줄일 수 있다. 젓가락질이
뇌를 자극해 치매 예방 효과도 볼 수 있다.
▷콩·두부 많이 먹기=
콩과 두부에는 식물성 단백질 이소플라본이 들었다. 이소플라본은
여성호르몬과 비슷한 구조를 가져 폐경
전후
중년 여성이섭취하면
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.
최근에는 콩이 대장암을예방한다는
서울대의대 연구 결과도 나왔다.연구진은 콩 속에 든 이소플라본이
암세포를 증식하고,
새 혈관을 만들고, 지방 합성을 억제하고,
대변 배출을 촉진하는 등의 기능을 하기 때문으로 추정했다.
이
연구에 따르면이소플라본 혈중 농도가 가장 낮은
하위 25%보다 상위
25%에서 대장암 위험이 50%
감소했다.
밥보다
반찬을 먼저 먹는 식사법이다. 채소
반찬 한 젓가락, 단백질 반찬 한 젓가락을 먹은 뒤
밥 한 술을 뜨면
된다. 이후
채소 반찬 한 젓가락, 지방이 든 반찬 한 젓가락을
먹은
뒤 밥 한 술을 뜬다. 포만감이
높은 채소를 먼저 먹게 돼 배가 빨리 부르기 때문에
식사량을
줄일 수 있다. 장
건강이 좋아지고 혈당지수가 낮아지는 효과도 볼 수 있다.
▷꼭꼭
씹어먹기=
음식을 꼭꼭 씹으면 침이 많이 생긴다. 침
속 페록시다아제만이라는 효소는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
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몸 면역력을 높인다. 턱
근육 신경을 자극해 뇌의 식욕을 관장하는 부위에 신호를 보내
포만감을 잘 느끼게 해 과식 예방하기도 한다.
▷간식은
견과류=
간식으로는 견과류를 먹는 게 좋다. 견과류에는
오메가3지방산, 비타민E, 식이섬유 등
건강에 좋은 영양소가 많다. 혈중 지방 수치를 낮추고, 심뇌혈관질환이나
당뇨병을 예방한다고도
알려졌다.

|
|
|